메뉴보기 search

조회 수 17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경인지구 작전(1950.9.15~10.8)

▲ 인천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계획 수립과정
        - 맥아더 장군의 한강전선 시찰(1950. 6.29.)
            “북한군의 남진을 낙동강을 연한 선에서 저지하는 동시에 절대 우위의 제공/제해권을 이용하여 북한 배후의 요충지인 인천 상륙을 통해 북한군을 협공할 것“을 구상
        - Blue Heart 계획(1950. 7. 4. : 극동군사령부의 최초계획)
            맥아더 장군은‘Blue Heart’계획을 수립하여 1950. 7.22일경 인천에 상륙할 예정이었으나, 지상군이 낙동강전선에서 북한군의 남진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데 실패함으로써‘Blue Heart’계획은 폐기되고, 상륙작전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새로운 상륙계획인 ‘Chromite’계획을 수립
        - Chromite 계획(1950. 7.23. : 라이트 장군이 작성한 개략계획)
            9월 중에 미 해병 제1임시여단, 미 육군 제2보병사단으로 3개 지점 중에서 어느 한곳에 상륙
            ·100-B : 인천에 상륙 후 서울, 수원지역을 점령하고, 제8군은 반격으로 전환하여 북한군의 병참선 차단
            ·100-C : 군산에 상륙 후 대전방향 공격, 북괴군의 우측 배후 장악
            ·100-D : 주문진 상륙, 강릉 점령 후 원주로 공격, 북한군의 후방 차단
        - 상륙군 부대 편성계획 변경(1950. 7.29.)
            ·북한군 제6사단 호남 축선 우회기동(마산-부산 축선 위협)
                * 인천 상륙작전의 전제조건 : 부산 교두보 확보
                * 최초 상륙작전 부대인 미 해병 임시 제1여단과 미 제2사단을 낙동강 방어선으로 전용하여 북괴군의 남진 저지 시도
            ·상륙군 부대 변경
                * 미 제2사단→주일 미 제7사단
                * 미 해병 임시 제1여단→미 해병 제1사단
                * 동경회의(1959. 8.23.)
            ·인천상륙작전 반대 이유
                * 부산으로부터 240km 이격된 지역에 유엔군 병력을 분할 운용 시 적에 의한 각개 격파당할 위험 예상
                * 상륙군 편성을 위해 낙동강 방어선으로부터 해병여단을 전용 시 낙동강 방어선 확보 곤란 예상
                * 상륙작전을 위한 선박의 부족으로 인해 제8군에 대한 보급용 선박을 상륙작전을 위해 전용이 불가피
                * 미 제7사단을 상륙군으로의 전용에 따른 일본 방어의 공백 발생
                * 인천의 지리적, 지형적 및 해양적 조건 부적합
                    ※ 육·해군 참모총장은 인천 대신 군산 상륙을 권고
            ·맥아더 장군이 인천상륙작전을 주장한 이유
                * 병참선의 요충인 서울을 측방에서 기습공격
                * 신장된 적의 병참선 차단 가능
                * 서울 조기탈환으로 한 국민에게 정치적 ? 심리적 안정감 부여
        - 미 10군단 창설(8.26.)
            ·미 상륙군 : 미 해병대 제1사단(스미스 소장), 미 육군 제7보병사단
            ·한 상륙군 : 해병대(3개 대대), 육군 제17연대
        - 인천상륙작전 재검토 의사 타진 : 미 합참 2회(9. 5./9. 7.)
        - 미 합참 최종 승인(9. 9.)
    · 인천상륙작전 경과
        - 상륙군 임무
            ·인천항만의 확보, 해안두보 점령
            ·가능한 신속히 진출, 김포 비행장 확보
            ·한강 도하, 수도 서울 탈환
            ·미 제8군과 연결 작전
        - 한국 해병대 임무
            최초 사단 예비가 되어 대기파로 적색해안에 상륙하여 미 제5해병연대와 협조, 인천 시가지 점령 작전 실시
        - 준비 작전
            ·8월 초
                * 순양함, 구축함, 항모 : 동해안에서 활동, 낙동강 방어선 항공/함포 지원
                * 소함정 : 서해안에서 활동, 해안 봉쇄/보급 차단
            ·8.18. ~ 9.10 : 서해안 도서 상륙 덕적도, 영흥도, 연평도 등
                * 8.18. 한국 해병대 덕적도 상륙
                * 8.20. 한국 해병대 영흥도 상륙
                * 9. 6. 한·미 해병대 최초 합류(형제 해병 인연)
                * 9.11. 한·미 해병대 최초 회의
            ·9.12. : 서해안 폭격
            ·9.13. ~ 15. : 적 방어선, 교통시설 파괴(함재기 200대)
                ※ 인천 상륙작전 기만 활동
                    ① 미 ? 영 소규모 특공대 군산 상륙(9.12.)
                    ② 진남포, 삼척, 원산일대 동일 규모의 함포 사격(9.13.)
                    ③ 군산을 모형으로 한 공개적 예행연습
                    ④ 군산 해안의 주민 철수를 종용하는 전단 살포(9.14.)
                    ⑤ 군산 주위 50km 지역 항공폭격(9.14.)
                    ⑥ 동해안 장사동 일대 한국군 특공대 상륙(9.14.)
                    ⑦ 미 매스컴 보도 : 10월 이후 반격/인천 상륙작전 실시
        - 상륙작전
            ·9.12. : 261척의 대규모 수송선단, 인천으로 출발
            ·9.15. : 작전 개시
                * 제1단계 작전 (월미도 탈환)
                    ① 05:00 함재기 월미도 폭격 개시
                    ② 05:30 순양함 포격 실시
                    ③ 06:30 미 해병 제53대대 녹색해안 (월미도) 상륙
                    ④ 07:59 제1목표 탈환 (월미도)
                * 제2단계 작전 (인천 해두보 확보)
                    ① 17:32 미 해병 제1연대 청색해안 상륙 개시
                    ② 17:33 미 해병 제5연대(-) 적색해안 상륙 개시
                    ③ 18:00 한 제1해병연대 적색해안(만석동) 상륙
            ·9.16. : 인천 시가지 소탕전
                * 한국 해병대 인천 시가지 소탕작전 참가
                * 01:30 미 해병 전방연대 인천 해안두보 완전 확보
                    ※ 미 해병 제5연대 : 인천 시가지 소탕작전을 한국군 해병대에 인계 후 김포방향으로 진격
            ·9.17. : 한 ? 미 해병대 부평으로 진격
            ·9.18. : 미 해병 제5연대 김포 비행장 확보, 미 제7사단 제32연대 인천 상륙
            ·9.20. : 미 해병 제5연대와 한국 해병대 한강(행주) 도하


경인지구작전.jpg

    · 작전 결과
        - 적의 주 병참선/퇴로 차단으로 전쟁의 주도권 UN군으로 급전
        - 적 후방지역에 대한 상륙실시로 UN군의 인적, 물적, 시간적 손실 최소화 효과 달성
        - 상륙전 측면에서의 의의
            ·상륙작전의 가치와 해군/해병대의 상륙작전 수행능력 과시
            ·해병대의 필요성 재인식
                * 미 합참의장(브래들리) 9개월 전 불필요 주장
            ·상륙전 교리의 타당성 증명
        - 인천상륙의 영향(각국)
            ·미국
                * 전쟁목적 변경 : 전쟁 이전 회복→한반도 통일
                * 상륙작전에 대한 중요성 인식
            ·북한
                * 전투의지 마비(痲?), 작전 주도권 상실
                * 자체 전쟁수행 불가 : 중공군 작전지원
                * 상륙작전 저지 방법 강구 : 원산 상륙작전 시 방어
            ·중국
                * 6·25전쟁 참전 결정
                * 전쟁기간 중 상륙작전에 대비
    · 교훈
        - 상륙작전에 대비한 해군/해병대의 전문화 유지 필요성
        - 새로운 상륙전 교리 및 기술/장비 개발의 필요성 대두
        - 상륙작전 시 기습효과 달성의 중요성 입증
        - 전술정보의 확보 필요성 대두
        - 신형 상륙함정의 필요성 대두

▲ 서울 탈환작전
    · 104고지 전투
        - 작전기간 : 1950. 9.21. ~ 9.22.
        - 작전지역 : 서울 수색
        - 적군 : 미상, 아군 : 해병대 제1대대
        - 상황
            ·9.15. 인천 상륙작전에 성공한 아군은 곧바로 인천을 장악한 후 경인가도를 따라 서울을 향한 진격을 시작하여 9.17. 부평, 9.19. 소사 및 영등포, 9.21 김포 및 강화도에 진입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아군은 공격기세를 살려서 적을 격파하고 서울을 향한 진격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 기간 중에 나타난 적의 저항은 집요한 것이었고, 아군의 손실 또한 적지 않아서 고전하였으나 대세는 이미 적의 패주로 기울어지고 있음이 분명하였다.
            ·당시 공격부대 상황
                * 미 해병 제1연대(대령 풀러) : 영등포 방면에서 계속 분전
                * 미 해병 제5연대(중령 머레이) : 9.20. 새벽 행주 나루터에서 한강 도하 후 서울 서측방에서 압력을 가함.
                * 한 해병대(대령 신현준) : 9.10. 00:30경 수색을 무혈점령 후 104고지 선까지의 진출 시도
        - 작전 경과
            ·공격부대 편성
                * 한국 해병 제1대대(소령 고길훈) : 중앙 담당
                * 미 해병 제5연대 1대대(중령 뉴턴) : 우측 담당
                * 미 해병 제5연대 3대대(중령 타플렛) : 좌측 담당
            ·경 과
                * 9.21. 14:00 공격 개시
                * 9.21. 18:30 한국 해병 제1대대 104고지 완전 장악
                * 9.22. 04:00경 적 역습
                * 9.22. 07:00경 치열한 백병전 끝에 적 역습 격퇴
        - 교훈
            ·효과적인 공격준비사격 및 연막차장으로 불리한 지형 조건 극복
            ·인천상륙작전 이후 지속된 공격기세 유지 및 강열한 적 격파 의지
    · 연희고지 전투
        - 작전 기간 : 1950. 9.22. ~ 9.24.
        - 작전 지역 : 서울 서대문구 연희고지(66고지)
        - 적군 : 북한군 제25여단 및 제78독립연대
        - 아군 : 미 해병 제1사단 5연대, 한국 해병 제1대대
        - 상황
            ·104고지를 점령한 한국 해병대의 제1대대는 중앙에서 연희고지를 향해 진격의 기세를 멈추지 않았다. 좌측의 미 해병 제5연대 3대대는 29고지(안산)를 목표로 우측의 미 해병 제1대대는 철로를 횡단하여 서교동의 105고지를 목표로 하여 각각 공격을 강행하게 되었다.
            ·당시 상황으로 미루어 보아 적의 강력한 방어진지가 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이 고지 일대의 지형은 서울 북쪽의 338고지 (인왕산)에서 남서로 295고지가 있으며 이 고지 남동쪽에 3개의 105고지와 연희고지를 중심으로 한 좌우 전후에는 나지막한 능선을 이루었으며 또 이화여대에서 아현동으로 뻗은 일련의 능선은 마치 활 모양의 지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적은 예측한대로 338고지와 105고지에 이르는 일련의 능선상에 주저항선을 형성하고 총력을 집중하여 방어하면서 결코 서울을 아군의 손에 넘기지 않으려고 발악하였다.
        - 작전 경과
            ·9.22. 07:20 공격 개시
            ·9.23. 한국 해병대 제1대대와 미 해병 제5연대 2대대와 임무 교대 후 104고지 집결 부대정비 실시
            ·9.24. 미 해병 제5연대 2대대 연희고지 점령
        - 교훈
            ·적을 알고 나의 능력을 파악 후 대처
            ·불타는 의지와 용기만으로 싸움에 이길 수 없음
            ·고도의 전기전술 연마 중요성 인식
    · 서울 시가전
        - 9.25. 한미 해병대 서울 돌입/시가전 개시
        - 9.26.
            ·한국 해병 제2대대 + 미 해병 제1연대 : 서울역 일대
            ·한국 해병 제1대대 + 미 해병 제5연대 : 서대문 4거리 일대
            ·한국 해병 제5대대 + 미 해병 제7연대 : 서울 북쪽 외곽
                * 서울시청에 태극기 게양(제2대대 6중대 1소대장 소위 박정모)
        - 9.27. 중앙청에 태극기 게양(제2대대 6중대 1소대장 소위 박정모)
        - 9.28. 한국 해병대, 중앙청 및 경무대(현 청와대)의 경비임무를 한국 육군 제17연대에 인계
        - 9.29. 수도서울 환도식(還都式) 거행(12:00)
            * 한국 해병대 : 수도 서울 환도식 간 식장 경비
    · 북한강지구 전투
        - 9.29. 한국해병 제1·2대대, 미 해병대 배속 해제 원대복귀 후 서울 치안 담당
        - 9.30. 서울방어를 위해 북한강 지역으로 출동(서울 동쪽지역 차단 임무)
        - 10. 1. 한국 해병 제5대대 원대 복귀, 미 해병대 항공/함포 연락 장교(65명) 해병대사령부 도착
        - 10. 2. ~ 5. 북한강 지역 및 금곡 완전 회복, 제10군단의 진출예정선 확보
        - 10. 6. 해병대 사령부 집결(인창리 일대)
        - 10. 7. 해병대 전 부대 인천 집결, 차기 작전 준비
            ·제1대대 : 묵호방면 전투 참가
            ·제2대대 : 목포지구 잔적 섬멸작전 참가, 5대대 : 원산 상륙작전 참가
    · 의의
        - 함락된 수도 서울 조기 탈환으로 국민의 사기 진작
        - 낙동강 전선의 총 반격여건 조성 및 북진 개시
        - 해병대의 위대한 업적 창조

 

경인지구작전 1.jpg




?

  1. 해병대 7대작전 ②경인지구 작전

    ▶ 경인지구 작전(1950.9.15~10.8) ▲ 인천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계획 수립과정 - 맥아더 장군의 한강전선 시찰(1950. 6.29.) “북한군의 남진을 낙동강을 연한 선에서 저지하는 동시에 절대 우위의 제공/제해권을 이용하여 북한 배후의 요충지...
    Date2021.02.23 By관리자 Views1733
    Read More
  2. 해병대 7대작전 ①통영상륙 작전

    ▶ 해병대 7대작전 선정 경위 해병대는 6.25전쟁이 막바지로 치닫던 1953년 3월, 해병대의 명예를 드높인 주요 전투를 역사에 길이 기리고자 해병대 5대 작전(통영상륙작전, 경인지구작전, 도솔산지구전투, 김일성/모택동고지전투, 양도작전)을 선정하였다. 베...
    Date2021.02.23 By관리자 Views1432
    Read More
  3. 해병대 70년사 전후정비기

    교육단 창설(1953. 2. 1.) 6·25전쟁 기간 중 교육훈련의 중요성을 절감, 독자적인 해병대의 장교, 부사관, 병을 양성하기 위하여 해병학교 및 해병훈련소를 기간으로 해병 교육단을 창설하여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식 교육훈련으로 강인한 ...
    Date2021.02.23 By관리자 Views524
    Read More
  4. 해병대역사 해병대와 6.25전쟁

    해병대와 6.25전쟁 해병대는 창설된 지 불과 1년 뒤인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발하자 장항·군산·이리지구에 투입되어 적의 남진을 지연시켰고 진동리지구 전투에서는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빛나는 영예를 차지하였으며 통영상륙 작전에서는‘귀신잡는 ...
    Date2020.10.30 By관리자 Views1082
    Read More
  5. 해병대 역사 창설기

    해병대 창설 1949년 4월 15일 초대사령관 신현준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리적여건과 여·순사건의 전훈에 따라 상륙작전을 수행할 부대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가 창설되었다. 이어서...
    Date2020.10.30 By관리자 Views145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