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search

(*.32.142.221) 조회 수 21729 추천 수 36 댓글 0
||0||0

부사관(副士官,non-commissioned officers, noncom,NCOs)은 군대내 장교와 병 중간의 신분으로 병을 통솔하는 간부이다. 2001년 3월27일 이전까지는 하사관으로 불렸으며 하사, 중사, 상사, 원사로 나뉜다. 부사관 중에 전문 기술을 요하는 직위에 한하여 준위를 선발하는데, 준위는 준사관 또는 장교로 분류된다.(위키백과)

부사관 계급 명칭의 역사

  대한민국 국군이 계승하고 있는 광복군의 편제로는 특무정사, 정사, 부사, 참사가 각각 현재 계급인 원사, 상사, 중사, 하사에 대응된다. 국방 경비대 시절에는 미 군정청에의해 미합중국 육군의 계급체계를 수용함여 부사관은 이등 중사, 일등중사, 이등상사 및 특무상사 등 6계급으로 결정하였다. 현재의 계급 체계 중 원사 계급은 1994년 1월 5일부로 일등상사에서 개칭되었다. 일등상사 계급은 1990년 5월에 신설되었고 이전에는 주임상사라는 직책이 있었다. 이 주임상사는 대대,연대, 사단 등과 같은 단위 부대의 부사관(당시의 하사관) 대표로서 고참 상사 중에 임명되었다. 1961년부터 1971년까지는 주임상사와 같은 원사 계급에 대응되는 계급이 없었고 창군이후 1961년 장면 정부의 감군 정책 이전까지 특무상사라는 계급이 존재했었다.

부사관 제도의 역사

  창군 당시, 부사관은 현역병에서 선발, 사단 하사관 교육대에서 교육후 하사로 임관하였고, 주로 일등병(당시에는 상병,병장 계급이 존재하지 않았음)에서 진급하여 충원하였다. 이와 같은 진급 충원제도는 1961년 장면 정부의 군 개혁 이전까지 계속되었다. 1961년 1군 하사관학교(원주), 1966년 2군 하사관학교(여산), 1973년 3군 하사관학교(가평)가 창설되어 각 하사관학교에서 부사관(당시 하사관)을 임용(2002년부터 9월 1일부터 임관으로 용어가 바뀜)함으로써 부사관 양성과 진급 임용으로 부사관을 획득하였으며 대상자는 중졸 이상으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1977년 부사관 모집자격 기준이 학력면에서 중졸이상에서 고졸이상으로 상향조정되었다. 1962년 1월 10일에는 군인사법을 개정하여 하사, 중사, 상사의 3단계 계급운영과 45세까지 복무하는 연령 정년제도를 시행함으로써 비로소 부사관이 직업군인으로서의 체계를 갖출 수 있었다. 이어서 1967 년 3월 1일에는 부사관 및 병을 대표하는 주임상사 제도를 제정하여 주임 상사를 핵심으로 부사관단 활 동을 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정하였다.(이상 위키백과)

 부사관의 의의

 ☆ 군의 최일선 초급간부로서 법령, 규칙, 계획 등의 범위내에서 일상적이고 규칙적인 업무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감독하고,  지시, 통제 또는 직접 수행하는 기능적 요원이다. 해병대의 부사관은 부대에서 교육훈련 및 내무생활에 이르기까지 부대원의 지휘 통솔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해병대 지휘체계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해병대의 부사관 계급 및 계급장

하사

중사

상사

원사

STAFF SERGEANT

GUNNNERY SERGEANT

MASTER SERGEANT

MASTER GUNNERY
SERGEANT

 부사관의 명칭변경

 ☆ 우리나라의 최초 부사관 제도 도입 : 약 100년전 갑오경장 군 개편시.

 ☆ 참교(參校 - 하사), 부교(副校 - 중사), 정교(政校 - 상사)

 ☆ 해방이후 1948년 국군 창설과 더불어 하사관 명칭 사용.
       50년간 명칭 사용 과정에서 1990년 초부터 "장교 아래" 라는 잘못된 인식과 좋지 않은 이미지 개선을 위하고, 국방관리와  무기체계가 과학화, 기술 집약화된 군 구조로 변화됨에 따라 우수한 하사관을 충원하고 장기복무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과제 대두.

 ☆ 2000년 12.26 군 인사법 개정, 공포

 ☆ 2001년 3월 27일 공식 계명. 하사관(下士官) → 부사관(副士官)
      하사관 명칭이 아랫간부를 의미하는데, 장교의 예속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고, 하사관의 최하위 계급인 하사를 연상케       하는 비하함이 내포되어 있어, 하사관의 품위와 권위 신장을 위한 명칭 개선이 필요하여, 학계자문 및 각군 설문 조사  결과, 용어 의미의 명확성, 장교와 하사관의 선호도, 신분간의 연계성, 하사관의 권위 신장을 고려하여 결정. [士官]에  접두어 副(버금 부)를 붙여서 [副士官]=장교에 버금간다는 의미.

 부사관의 역사와 전통

 ☆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기까지 군인의 신분은 장교와 사병으로만 구분되어있었는데 그 시초는 갑오경장때
     1894년 칙령 제10 호(육군 장관직별)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 장교계급 : 대장, 부장, 참장, 정령, 부령, 참령, 정위, 부위, 참위

 ☆ 부사관계급 : 정교(政校 - 상사), 부교(副校 - 중사), 참교(參校 - 하사)

 ☆ 8.15 해방후 1946년의 국방경비대와 1948년의 국군 창설이래 53년, 57년, 89년, 94년의 거듭된 제도변경을 거쳐 지금은
     하사, 중사, 상사, 원사의 4계급으로 되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글쓴이 조회 수
456 해병대사령부 재창설비화 - 해병대의 전통과 비화中 file 2010.03.23 운영자 10342
455 태극무공훈장과 이인호소령 1 file 2010.03.23 운영자 10277
454 월남전 공모사진 당선작 file 2010.03.23 운영자 9623
453 쏟아지는 총탄에 멈춘 기관차… 장단역 시간도 거기서 멈췄다 file 2010.03.24 관리자 7827
452 해병대 체육대회 - 총력전 1 file 2010.03.24 관리자 10379
451 최근의 벽암지 유격교육대 - 레펠막타워 신축 1 file 2010.03.24 관리자 8625
450 해병 제1사단 72대대 file 2010.03.27 관리자 12318
449 월남전 당시 부상당한 전우를 후송하는 해병대원 file 2010.03.27 관리자 9059
448 천안함 침몰후 수색작전에 분주한 해병대원들 file 2010.03.29 관리자 9164
447 Mr.빈의 무적해병 거듭나기-2009 국군방송창작영상물 공모전 우수상 2010.03.31 관리자 8721
446 대한민국해병대와 상륙작전 2010.03.31 관리자 6915
445 다시보는 배달의기수 - 달린다 해병 2010.03.31 관리자 7888
444 조석별과업 - 구보 file 2010.04.01 관리자 9714
443 상륙작전과 탑재 file 2010.04.03 관리자 6672
442 1983년 광주 상무대에서 만났던 해병대소위들에게 - 이준재 2010.04.04 관리자 9627
441 대한민국해병대 의장대와 미해병대 의장대 2010.04.05 관리자 11472
440 신병훈련 - 무장전투수영 및 이함훈련(국방TV) 2010.04.05 관리자 8623
439 강화도의 육군특무대 난입사건 - 해병대의 전통과 비화中 2010.04.05 관리자 10751
438 해병 제1공병중대의 현리 난동사건 - 해병대의 전통과비화중 file 2010.04.05 관리자 11192
437 해병대 사령부 재창설을 맞이한 박구일 중장 file 2010.04.06 임영식 95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