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search

(*.247.75.75) 조회 수 5861 추천 수 11 댓글 3


||0||0*** 이러고도 '사단급 훈련' 이라고? (조선일보, 2006.11.8)

‘병력 8000여 명 참가, 함정 10여 척, 헬기 등 항공기 40여 대, 수륙양용장갑차 70여 대 투입. 한국군 최초의 단독 사단급 상륙훈련.’

지난달 27일 합동참모본부와 해병대가 미군의 지원 없이 처음으로 한국군 단독 사단급 상륙훈련을 실시한다며 내세운 명세서다. 1개 사단에 육박하는 병력이 우리 해병대가 보유한 상륙함정과 수륙양용 장갑차, 헬기 등을 타고 해안에 상륙하는 훈련을 한 것처럼 돼 있다. 종전엔 대대~연대급 수준의 상륙훈련만 이뤄졌기 때문에 괄목할 만한 발전을 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실제 훈련 내용은 군에서 발표한 것보다 초라하기 짝이 없었다. 이날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 등을 타고 해상으로 상륙한 병력은 1개 대대(500여 명) 규모. 헬기와 수송기를 타고 공중으로 침투한 병력은 총 2개 중대(240여 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병력은 대부분 육지로 미리 이동해 있었다. 8000여 명 중 10%가량만이 실감 나는 상륙훈련을 한 셈이다.

이는 헬기와 상륙함정, 수륙양용 장갑차 등 상륙 전력(戰力)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해병대가 독자적인 항공부대를 갖고 있지 않은 데 따른 항공전력 문제는 심각하다는 평가다. 27일 훈련에 투입된 40여 대의 헬기도 대부분 육군 소속으로 지원을 받은 것이다.

이번 훈련엔 아시아 최대의 상륙함으로 지난해 진수된 1만4000?급 대형 상륙함 독도함도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독도함에도 정작 중요한 공격수단인 헬기가 없어 아직도 날개를 달지 못하고 있다. 과거 상륙작전은 해상으로만 이뤄졌으나 현대전에선 헬기 등을 통해 공중으로도 침투하는 입체적인 상륙작전이 중요해졌다.

그러면 군 당국은 왜 능력도 없으면서 사단급 상륙훈련을 강행한 것일까? 군 주변에선 전시 작전통제권(전작권) 단독행사 추진에 대해 “한국군에 과연 그럴 능력이 있는가?”라는 의문이 계속 제기되자 이를 불식시키기 위한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합참은 훈련이 끝난 뒤 홈페이지에 ‘한국군이 단독, 그것도 사단급으로 합동 상륙훈련을 시행한 것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합의가 이뤄진 가운데 앞으로 우리 군이 독자적 역량을 가다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는 글을 올려 전작권 문제와 이번 훈련이 무관치 않음을 밝히고 있다. 군의 한 소식통도 “이번 훈련실시는 전작권 문제에 대한 군 수뇌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전했다.

2만7000여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 해병대는 규모상 세계 4위다. 미국(17만5000명), 대만(3만명), 베트남(3만명)의 뒤를 이어 세계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전쟁이 났을 때 적에게 의미 있는 타격을 주고 목표지역을 탈취하기 위해선 상륙부대가 2개 연대~사단급 이상이 돼야 한다. 현재 우리 해병대는 최대 1개 연대(2000여 명) 정도의 상륙작전 능력밖에 없다. 더구나 군내에서 상대적으로 발언권이 약한 해병대의 전력은 최신 장비보다는 정신력에 크게 의존해왔다는 평가다.

만일 정부와 군 당국이 부풀려진 이벤트를 통해 전작권 단독행사 추진에 따른 국민들의 안보 불안을 없앨 수 있다고 본다면 오산(誤算)이다. 이미 인터넷을 통해 이번 훈련의 실상이 널리 알려지면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은 실정이다. 국민에게 우리 군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알리고 국민들의 지원을 받을 부분은 받는 것이 정도(正道)다.

/유용원 · 군사전문기자 bemil@chosun.com


  • ?
    임영식 2006.11.10 10:17 (*.1.78.242)
    제가 shore party에 근무하며 대대(BLT),연대급(RLT) 상륙작전때마다 수도 없이 참가했었는데 항상 우리 상륙부대의 일부들은 미리 도보로 걸어서 대기하고 있다가 훈련에 참가하곤 했엇는데 아직도 그런 실정이라니...
  • ?
    임영식 2006.11.10 10:18 (*.1.78.242)
    독도함이 있다고 하나 대대급이상의 단독상륙작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듯...
  • ?
    임영식 2006.11.10 10:19 (*.1.78.242)
    다른 훈련이라면 몰라도 상륙훈련이 미리 도보로 이동해서 참가한다니 말도 안되는 훈련아닌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글쓴이 조회 수
277 해병대창설 60주년 로고 file 2009.04.17 임영식 8455
276 해병대 창설 60주년 기념 자전거대회 file 2009.04.17 임영식 7081
275 해병수색대 그린베레모 탄생 이야기 file 2009.04.17 임영식 10678
274 해병대창설 60주년 기념식 2009.04.20 관리자 5615
273 2009년 해병대부사관 전문대장학생 모집안내 2009.05.05 사무국장 14451
272 해병공수 사진모음 file 2009.05.05 관리자 5543
271 2009년도 해병대부사관 모집계획 file 2009.05.05 사무국장 17529
270 2009년도 해병대부사관 및 병 모집계획 file 2009.05.05 사무국장 7966
269 해병대 부사관 316기 수료·임관식 file 2009.05.05 관리자 6218
268 해병대칭설 60주년 기념우표 file 2009.05.05 관리자 5522
267 해병대원 휴가용가방 file 2009.06.03 관리자 6557
266 대한민국 해병대 소개 동영상 2009.06.03 관리자 5970
265 살아서 돌아오라 - 해병대수색교육 65차 1부 2009.06.12 관리자 6109
264 살아서 돌아오라 - 해병대수색교육 65차 2부 2009.06.12 관리자 7435
263 살아서 돌아오라 - 해병대수색교육 65차 3부 2009.06.12 관리자 7448
262 해병대부사관 317기 임관 file 2009.06.21 관리자 5839
261 서해5도 해병 감축 철회할 듯 file 2009.06.22 임영식 8172
260 2009년 군인월급표 file 2009.07.08 관리자 20471
259 부사관의 꿈 향해…" 해병대 병영체험 file 2009.07.11 사무국장 16209
258 호국상륙훈련 file 2009.07.22 임영식 605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7 Next
/ 2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