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search

(*.32.142.224) 조회 수 1221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0||0 73년 10월 1일 여의도에서 거행된 건군25주년 국군의 날 행사는 해병대 사령부의 해체를 목전에 두고 있던 해병대장병들에게 있어서는 착찹한 심정을 금치 못하게 한 행사였다.

그 때 이미 약 400명의 전역 희망장교 중 약 300명은 9월 10일과 20일 두 차례에 걸쳐 전역을 하고 그 나머지는 9월 30일과 10월 10일(이병문 사령관과 전속부관 각 국감실장 및 의장대장.헌병대 보안과장 등 10여명) 부로 전역을 하게 돼 있었으므로 부대 내부의 분위기는 몹시 썰렁했고, 당시의 사령부 보안대장 임경섭준장이 박 대통령에게 앞으로 어떤 사태가 벌어질지 모른다고 했던 것처럼 장병들의 감정이 그만큼 악화되어 있었다.

10월 10일 이병문 대장의 전역식을 마치고 그 날 부로 전역을 했던 사령부의 마지막 의장대장은 이상우 대위(해간 36기)였고 서울지구 해군헌병대 보안과장은 김무일대위(해간35기)였다.

그런데 해병대로서는 마지막 국군의 날 행사에 참가했던 그 날 여의도 5.16광장 행사장에서는 액운이 끼어 있었던지 육군공수부대 정예요원들의 예기치 못한 랜딩 실수가 발단이 된 해병대 대원들과 공수부대 대원들 간의 감정적인 충돌로 인해 공수부대 요원 한 사람이 척살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그 날을 마의 날로 기억되게 했다.

그 사건의 개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메인행사인 분열식이 끝난 후 휘나레를 장식하는 육군공수특전단 요원들의 고공낙하 시범이 진행되고 있던 중 로이얄 박스의 랜딩 포인트에 낙하해야 할 수 명의 공수단 요원들이 그 지점을 벗어나 그 부근에 있는 해병대 행사부대 장별들의 일부 내무실 천막에 떨어진 것이 발단이 되어 해병대의 천막 감시병들과 공수단 대원들(하사관) 간에 시비가 벌어졌고, 결국은 그 사소한 시비가 화근이 되어 수모를 당한 공수단 요원들이 그들의 내무실로
가서 수십 명의 동료 대원들을 데리고 와서 소수의 해병대 감시병들에게 집단으로 폭행을 가하자 행사를 마치고 부서진 천막으로 돌아와 감시병들이 폭행을 당한  사실을 알게 된 행사부대 대원들이 격분을 하여 때마침 행사를 마치고 그 천막 앞을 통과하고 있는 육군공수단의 지프차와 트럭을 세워 영문을 알지 못하는 공수단요원들에게 시비를 걸었고, 그러한 경황에 지프차에 타고 있던 공수단요원 한 사람이 일전을 불사할 태세로 차에서 내려 대검을 뽑아 들자 표범 같이 덤벼 든 해병대 대원 한 명이 그 대검을 탈취하기가 무섭게 (그 대검으로)그 공수단 요원을 척살하고 말았던 것이다.

한편 그러한 사고가 발생하자 육군헌병대와 해군서울지구 헌병대(장,윤웅섭 중령)에서는 즉각 합동수사반을 편성하여 포항으로 내려갈 병력수송열차와 김포 여단으로 들어갈 병력수송차량을 밤늦게까지 세워 놓고 진상을 파악하는 한편 가해자의 검거에 나섰으나 결국 가해자를 색출해 내지 못함으로써 미제사건이 되고 말았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앞에서 언급되어 있듯 훗날(87년) 해병대 사령부의 재창설 서류에 결재를 한 공수단 출신의 전두환대통령이 박구일 중장에게 특별히 지시한 그 3가지 사항 중 "싸움을 너무 많이 하지 말라"고 했던 그 말은 특히 육군과의 사이에 벌어졌던 그와 같은 트러블이 재발되지 않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한 간곡한 충고의 말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글쓴이 조회 수
216 하늘에서도 상륙한다 file 2008.12.11 임영식 5550
215 하선망훈련 file 2007.03.12 임영식 6145
214 한국군 단독 첫 사단규모 상륙훈련 오늘부터 file 2006.10.24 운영자 5958
213 한국적 상륙작전 개념도 file 2008.03.11 관리자 6349
212 한국전쟁시 해병대주요전투 file 2010.03.16 관리자 8757
211 한국전쟁중의 해병대원 - 한국전고증편찬위 file 2010.04.04 관리자 7889
210 한국해병대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file 2010.03.16 관리자 11219
209 한나라당 공성진의원 국회 임시회 해병대관련 국방장관 질의 2007.06.16 임영식 5600
208 한미연합 합동 연안상륙훈련 (2006) file 2010.04.13 관리자 7178
207 한미합동 해병훈련 1978년 2010.04.17 관리자 7634
206 한미해병대 연합상륙훈련 file 2010.03.14 운영자 6942
205 한미해병대 유격훈련 2010.03.13 관리자 7525
204 함미인양작전 대비하는 해병대원들 1 file 2010.04.14 관리자 9725
203 항공기를 이용한 IBS 침투훈련 file 2010.04.13 관리자 8487
202 해병 file 2008.03.28 관리자 5935
201 해병 1111기 716명 배출…'미래 해병 양성 원년' 선언 file 2010.03.20 관리자 10825
200 해병 6여단 M-48A3K 전차 야간사격 file 2010.03.11 관리자 9167
199 해병 6여단 장병들도 해상과 해안에서 IBS로 실종자 수색 1 file 2010.03.29 관리자 9288
198 해병 소방대장 김대훈 중사를 만나다 file 2010.03.07 관리자 17587
197 해병 제1공병중대의 현리 난동사건 - 해병대의 전통과비화중 file 2010.04.05 관리자 11193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7 Next
/ 27

CLOSE